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한미 금리차 한은 빅스텝

by 행복하자!! 2022. 9. 23.

미국의 고강도 긴축 공포가 현실화하면서 한국은행의 두 번째 빅 스텝 가능성이 급부상하고 있습니다. 이미 지난 7월 사상 첫 빅 스텝을 단행했었는데요. 불필요한 지출이나 대출은 지양해야 할 것입니다.

 

 

 

한미 금리 차이로 인한  한국은행 빅 스텝 시사

 

미국의 고강도 긴축 공포가 현실화하면서 지난 7월 사상 첫 빅 스텝을 단행했던 한국은행의 두 번째 빅 스텝 가능성이 급부상하고 있습니다. 미 연준이 긴축의 고삐를 더 바짝 당기면서 한미 간 금리 차이가 벌어지자 대처를 위한 방안으로 여겨집니다.

 

금리인상-썸네일
금리인상

 

미국 연준이 기준 금리를 0.75% 올리는 세 번째 자이언트 스텝에 나서면서 한미 금리가 한 달 만에 재역전된 데다 연말 양국의 금리 차가 더 벌어질 것이 확실시되면서 한은의 금리 인상도 불가피해졌습니다.

 

우선 자이언트 스텝과 빅 스텝을 간단히 생각해 보자면, 자이언트 스텝은 금리를 0.75% 인상하는 것이며, 빅 스텝은 0.5% 인상하는 것을 의미합니다. 보통 경제적인 상황을 고려해 0.25%를 인상하는 것이 일반적인데 인플레이션으로 인한 물가를 잡기 위한 것으로 보입니다.

 

재차 미국이 자이언트 스텝에 나서면서 현재 미 금리가 한국보다 0.75 포인트 높은 한국과 미국 간의 역전 금리 현상이 나타난 것으로 보입니다. 미국이 세 차례 연속 자이언트 스텝을 단행한 것은 참으로 이례적입니다.

 

한은은 지난 7월 사상 첫 빅 스텝을 단행하면서 향후 0.25% 포인트 점진적 인상이 바람직하다고 말했지만, 한미 간 금리 차이가 벌어지면서 빅 스텝의 가능성이 큰 상황이네요.

 

한미 간 금리 차가 벌어지는 상황이 지속하면 주식과 부동산에도 아주 부정적입니다. 금리가 점점 올라가며 부채가 많은 사람의 부담이 점점 커질 것이며, 부동산을 계약하려는 움직임도 적어질 것입니다.

 

주식이나 코인에도 좋지 않습니다. 한미 간 금리 차가 벌어지는 상황이 지속하면 외국인의 자금 이탈 가능성이 있습니다. 외국인 투자자금이 이탈하게 된다면 주식을 해 본 사람들은 알겠지만, 주가 하락은 불가피할 것입니다.

 

이리저리 긍정적인 부분보다, 경제적으로 악재가 많아지고 있습니다. 한미 금리 차로 인해 두 번째 빅 스텝이 예상되는 가운데 우리는 안전한 투자와 불필요한 지출을 줄이는 것이 바람직할 것입니다.

 

 

미국 연준 자이언트스텝 주담대 금리 우려

미국 중앙은행인 연방준비제도(연준)가 이례적으로 3회 연속 '자이언트 스텝'(기준금리를 한 번에 0.75% 인상하는 것)을 단행하면서 주담대 금리 우려가 되고 있습니다. 미국 연준 

ksy1.tistory.com

댓글